1. 정의 및 사용
metadata는 데이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meta>태그는 html문서에 대한 메타데이타를 제공한다. 메타데이타는 페이지에 표시되지는 않지만 기계적인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메타 엘리먼트에는 주로 페이지 설명,키워드,문서의 저자,마지막 변경이나 다른 메타데이타 등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메타데이타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페이지 재호출과 같은 브라우저서 사용되거나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엔진 기타 다른 웹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
2. 특징
<meta> 태그는 항상 <head> 엘리먼트 안에 있다.
메타데이타는 항상 name/value를 쌍으로 나타낸다.
name 이나 http-equiv 속성이 정의되었다면 콘텐츠 속성은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
3. setting the viewport
html5에서는 웹디자이너가 <meta> 태그를 통해서 뷰포트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메소드를 제공한다.
뷰포트는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다. 장치에 따라 다양하며 PC화면에서보다 모바일 폰에서 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모든 웹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meta> 뷰포트 엘리먼트가 들어있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al-scale=1.0">
<meta> 뷰포트 엘리먼트에는 브라우저에서 페이지의 배율과 크기 제어에 관한 내용이 나타나 있다.
width = device-width는 페이지의 너비가 장치의 화면 너비에 따라 설정되도록 한다. (장치에 따라 다름)
initial-scale=1.0은 페이지가 처음 브라우저에 호출될때 초기 줌 레벨값을 설정한다 .
4. 속성들
속성 |
값 |
설명 |
charset |
charset_set |
html 문서의 문자인코딩 지정 |
content |
text |
http-equiv나 name속성과 관련된 값 제공 |
content-type default-style refresh |
content 속성에 정보/값에 대한 http 헤더를 제공 |
|
name |
application-name,author,description, generator,keywords,viewport |
metadata에 name 지정 |
scheme |
format/uri |
content 속성의 값을 해석하는 데 사용할 스키마를 지정 (HTML5에서는 지원안됨) |
참조.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위와 같이 페이지에 <meta> 태그가 삽입되면 모든 IE브라우저에 호환성보기를 무시해준다.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개요 (0) | 2020.03.28 |
---|---|
HTML Layouts (0) | 2018.12.27 |
HTML block and Inline Elements (0) | 2018.11.16 |
HTML <link> Tag (0) | 2018.11.13 |
javascript html dom (0) | 2018.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