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연구 7

내용분석에서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1. 신뢰도(1) 신뢰도의 의미측정하는 현상이나 결과값이 일관되게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반복적용 했을 때 일관된 값이 나오거나 같은 응답이 여러 번에 걸쳐 측정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2) 측정방법- 재조사법 : 동일한 사람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일정한 시간을 두고 조사- 복수양식법 : 유사한 형태로 각각을 동일한 대상에게 적용- 내적일관성 신뢰도(반분법) : 무작위로 똑같이 반씩 나눈 값으로 상관관계를 살피는 조사-Crobach's Alpha : 질문 내용을 둘로 나누어 질문 문항 각각과 나머지 문항에 대한 상관관계를 구해 그 평균으로 신뢰도를 판단 (3) 주의사항- 신뢰도가 낮을 경우 영향을 주는 문항을 제거할 수 있다. - 반복적용 대상에 대한 문제 분석- 예비조사를 통한 사전검토 (4) 측정..

미디어연구 2018.11.03

내용분석의 절차

1. 연구문제 또는 가설의 설정>> 먼저 관련 문헌 검토가 필수적이다. 연구문제나 가설 설정을 하기 위한 자료의 출처는 중요한 문제이며 과거에 행해진 연구나 변화된 환경 등을 토대로 삼을 수 있다 .2. 모집단의 정의>> 연구 대상에 대한 경계 설정을 의미하며 관련 모집단에 대하여 적절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모집단 결정에서는 연구주제의 범위와 연구대상 기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주제영역의 구체화는 연구문제와 논리적인 일관성을 이루어야 하고 연구의 목적과도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연구자는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의 기간 설정은 내용분석의 기본 요건에 관한 정확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3. 표본의 선정>> 내용분석에서 표본선정이란 연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범위를 설정하는 ..

미디어연구 2016.09.13

연구설계

Holsti(1969) 내용분석 연구설계 요소 요 소 의 미 A, B, C, D 메시지의 발신자(생산자) 또는 수진자(소비자) X와 Y 내용 변인 Z 행위 변인 S1과 S2 상황(Situation)변인 T1과 T2 시간(Time)변인 두 개의 범주 비교 --> 유추 해석 1. 단일 발신자 메시지 분석1) 연구 분석 유형가. 메시지 자체 분석ㄱ. 대다수 내용분석 미디어연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화나 차이에 따른 비교 검증이 아닌 메시지 자체 분석나. 메시지 추이 분석ㄱ. 발신자가 두 시점에 발신한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면서 나타나는 변화의 추이를 검증하는 것다. 상황에 따른 메시지의 차이검증ㄱ. 발신자가 두 상황에서 발신한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상황의 차이가 메시지에 주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

미디어연구 2016.09.11

내용분석 정의

Waliser & Wienir(1978)"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체계적인 절차"Krippendorf(1980)"어떤 자료로부터 그 문맥(context)에 대하여 타당한 준거들을 만드는 연구기법"kerlinger(1986)"변인측정을 목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이며 수량적인 방식으로 연구 붖석하는 방법">>kerlinger의 내용분석 개념1. 쳬계성 1) 명백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규칙에 따라 분석내용을 선택2) 표본선정은 적절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3) 각 항목은 분석에 포함될 수 있는 균등한 기회를 가져야 한다.4) 평가과정 또한, 분석대상이 되는 모든 내용은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해야 한다. 2. 객관성1) 조사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편견이 분석결과에..

미디어연구 2016.09.10

내용분석 연구

>> 인간 커뮤니케이션 행위 연구 분석틀 "Who says What, to Whom, How, and with What Effect?"(누가 어떤 메세지를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해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Who says Why, What, to Whom, How, and with What Effect?">> 내용분석의 역사적 사례2차대전 당시, 독일방송국이 유럽 점령지역에서 방송 음악과 다른 지역방송국의 음악 비교를 통해 독일 군부대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를 성공적으로 예측한 사레전후에는 신물과 라디오를 통한 선전 연구에 내용분석방법이 이용 됨.1952년, Berelson의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출간은 내용분석기..

미디어연구 2016.09.06

신뢰구간과 표준오차, 표집오차 계산

표준오차 1을 더하거나 빼는 것은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약 68%가 모수치에서 그 만큼의 표준편차 단위에 있을 경우에 대한 예상치를 나타낸다. 신뢰구간과 표준오차 90% -> 1.645 95% -> 1.960 99% -> 2.576 표집오차 계산 백분율 계산 : s×s=p(100-p)/n * 표본 크기 n, 표본의 백분율 p, 표준오차 s 평균 계산 : m×m={∑(x-m)(x-m)}/n, sm*sm=(m*m)/n * 표본 크기 n, 표준편차 m, 표집오차 sm, 변인 값 x 의미: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오차값은 줄지만 정비례하지는 않는다. 표집 통계 오차는 모든 조가 갖는 특징이다. 오차의 문제는 오차의 크기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사례1 600 가구를 대상으로 시청률을 조사한 결..

미디어연구 2016.09.02

미디어연구 방법 표집오차

표집오차의 계산은 확률표본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똑같은 선택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비확률표본을 사용한 연구는 표집오차를 계산할 수 없다. 의미 표집오차는 우연적 변동을 확률변수로 수학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는 객관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측정횟수를 증가시키면 오차를 줄이는 기회가 많아진다.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에서 발췌** **

미디어연구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