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연구
내용분석 연구
생각 나무
2016. 9. 6. 07:33
>> 인간 커뮤니케이션 행위 연구 분석틀
<Lasswell/1952> "Who says What, to Whom, How, and with What Effect?"
(누가 어떤 메세지를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해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 Holsti/1969> "Who says Why, What, to Whom, How, and with What Effect?"
>> 내용분석의 역사적 사례
2차대전 당시, 독일방송국이 유럽 점령지역에서 방송 음악과 다른 지역방송국의 음악 비교를 통해 독일 군부대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를 성공적으로 예측한 사레
전후에는 신물과 라디오를 통한 선전 연구에 내용분석방법이 이용 됨.
1952년, Berelson의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출간은 내용분석기법이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에게 하나의 분석도구로 인정받는 계기가 됨.
1968년, Tannenbaum & Greenberg, 당시 단길분야로는 신문에 관한 내용분석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고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논문에 밝힘.
1977년~1985년,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에 실린 양적 분석의 21%가 내용분석방법을 이용 함.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미디어연구방법(저자 오택섭)>에서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