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연구

내용분석에서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생각 나무 2018. 11. 3. 23:55

1. 신뢰도

(1) 신뢰도의 의미

측정하는 현상이나 결과값이 일관되게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반복적용 했을 때 일관된 값이 나오거나 같은 응답이 여러 번에 걸쳐 측정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2) 측정방법

- 재조사법 : 동일한 사람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일정한 시간을 두고 조사

- 복수양식법 : 유사한 형태로 각각을 동일한 대상에게 적용

- 내적일관성 신뢰도(반분법) : 무작위로 똑같이 반씩 나눈 값으로 상관관계를 살피는 조사

-Crobach's Alpha : 질문 내용을 둘로 나누어 질문 문항 각각과 나머지 문항에 대한 상관관계를 구해 그 평균으로 신뢰도를 판단


(3) 주의사항

- 신뢰도가 낮을 경우 영향을 주는 문항을 제거할 수 있다. 

- 반복적용 대상에 대한 문제 분석

- 예비조사를 통한 사전검토


(4) 측정

매스미디어 연구 예)

두 명의 코더  A, B가 10개의 방송프로그램을 3개의 범주(보도, 교양, 오락)로 분류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1

2

3

4

5

 6

 7

 8

 9

 10

 A

 보도

오락 

교양 

보도 

오락 

오락 

교양 

오락 

교양 

오락 

 B

 보도

오락

오락 

보도 

오락 

오락 

교양 

교양 

교양 

오락 


조사값에서 관찰된 일치도는 

(2*8)/(10+10) = 0.8 =>80%

3 범주의 빈도수는 각 각 10, 6, 4이고 각각의 빈도의 비율을 제곱한 수들의 합은

0.5*0.5+0.3*0.3+0.2*0.2 = 0.38

즉, 우연히 두 코더의 뷴류가 일치할 확률은 38%가 된다. 


그러므로, 우연의 확률을 제외한 신뢰도는 

(0.8-0.38)/(1.0-0.3.8) = 대략 0.68


2. 타당성


** **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미디어연구방법(저자 오택섭)>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