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연구
연구설계
생각 나무
2016. 9. 11. 11:50
Holsti(1969) 내용분석 연구설계 요소
요 소 |
의 미 | |
A, B, C, D |
메시지의 발신자(생산자) 또는 수진자(소비자) | |
X와 Y |
내용 변인 | |
Z |
행위 변인 | |
S1과 S2 |
상황(Situation)변인 | |
|
시간(Time)변인 | |
<-> |
두 개의 범주 비교 | |
--> |
유추 해석 |
1. 단일 발신자 메시지 분석
1) 연구 분석 유형
가. 메시지 자체 분석
ㄱ. 대다수 내용분석 미디어연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화나 차이에 따른 비교 검증이 아닌 메시지 자체 분석
나. 메시지 추이 분석
ㄱ. 발신자가 두 시점에 발신한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면서 나타나는 변화의 추이를 검증하는 것
다. 상황에 따른 메시지의 차이검증
ㄱ. 발신자가 두 상황에서 발신한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상황의 차이가 메시지에 주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
라. 수용자에 따른 메시지의 차이검증
ㄱ. 발신자가 복수의 수신자에게 발신한 메지시를 비교함으로써 수용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과 양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
마. 단일 발신자가 발신한 1개 이상의 메시지 분석
바. 단일 발신자의 메시지와 행위 분석
ㄱ. 발신자의 메시지와 행위를 비교함으로써 발신자의 가치, 태도, 동기나 관심을 유추하는 것
2. 복수 발신자의 메시지 관련 분석
>> 내용분석을 이용한 연구중에는 매스미디어가 묘사한 현상과 실제 현실세계의 현상을 비교하는 <현실성 검토> 분석을 통해 미디어가 제시하는 것과 실제로 존재하는 상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논의하게 된다.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미디어연구방법(저자 오택섭)>에서 발췌** **